정관사란? 무엇이며 용법과 예문을 만나보자. ◆ 정관사 정관사 the는 「그 ~」라는 의미로 특정한 것을 가리키는 명사 앞에 붙이게 된다. 부정관사가 셀 수 있는 명사 앞에만 붙는 것과는 달리 정관사 the는 모든 명사의 단수/복수형 앞에 붙을 수가 있다. Teaching Point 1 : 정관사의 용법 (1) 앞에 나온 명사를 되풀이해서 말할 때 쓰인다. I bought a book at the bookstore, but I lost the book on my way home. (나는 서점에서 책을 한 권 샀는데, 집으로 오는 길에 그 책을 잃어 버렸다.) He has a son, and the son is a doctor. (그에게는 아들이 하나 있는데 그 아들은 의사이다.) I met a littl..
부정관사란 무엇이며 그 용법과 예문을 알아보자. ◆ 부정관사 부정관사 a/an은 원래 「하나의(= one)」라는 뜻으로, 발음이 자음으로 시작되는 명사 앞에는 a, 발음이 모음으로 시작되는 명사 앞에는 an을 쓴다. Teaching Point : 부정관사의 용법 (1) 셀 수 있는 명사 앞에 의례적으로 붙는 경우에는 특별한 의미가 없다. My brother is a lawyer. (나의 형은 변호사이다.) He is a student. (그는 학생이다.) He threw a stone at the dog. (그는 그 개에게 돌멩이를 던졌다.) There is a book on the desk. (책상 위에 책이 있다.) (2) 「하나」라는 뜻을 분명히 나타낸다. I’ll be back in a day o..
집합명사란? 무엇이며 그 종류 및 예문을 알아보자. ◆ 집합명사 family(가족), class(학급), committee(위원회), nation(국민), public(대중) 등과 같이 사람이나 사물의 집합체를 나타내는 명사를 집합명사라 한다. Teaching Point 1 : 집합명사의 수 집합명사는 셀 수 있는 명사이다. His family is large. (그의 가족은 대가족이다.) Three families live in the house. (그 집에는 세 가구가 살고 있다.) Teaching Point 2 : 복수로 취급하는 집합명사 (1) 집합체를 구성하는 개개의 구성원 전체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복수로 취급한다. His family are all well. (그의 가족은 모두 잘 있다.) =..
보통명사란? 무엇이며 용법과 예문을 알아보자. ◆ 보통명사 형태가 있는 사물의 일반적인 이름을 보통명사라 한다. 보통명사의 예: boy, horse, tree, book, apple, house... 주의 : hour, day 등의 시간을 나타내는 말, pound, gram 등의 무게를 나타내는 말, feet, mile 등의 거리를 나타내는 말은 형태는 없지만 일정한 단위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보통명사에 속한다. Teaching Point 1 : 보통명사의 총칭적 의미 보통명사는 「~라고 하는 것」이라는 종류 전체를 나타내는 의미로 쓰일 수 있다. 「~라고 하는 것」이라는 대표성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낸다. (1) 「a+단수 보통명사」의 대표 단수 A dog is a faithful ani..
추상명사란? 무엇이며 그 용법과 예문을 알아보자. ◆ 추상명사 형태가 없는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명사를 말한다. 추상명사는 셀 수 없는 명사로서 부정관사를 붙이거나 복수형을 쓰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추상명사의 예: experience(경험), success(성공), education(교육), kindness(친절), youth(젊음), knowledge(지식), beauty(미), advice(충고), happiness(행복), luck(행운), etc. Teaching Point 1 : 추상명사의 보통명사적 의미 추상명사가 구체적인 행위, 경험, 기회 등을 나타낼 때에는 보통명사처럼 쓰여 부정관사를 붙이거나 복수형을 쓸 수 있게 된다. 이를 추상명사의 보통명사화라 한다. He has had 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