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명사란? 용법과 예문을 통해 알아보자. ◆ 고유명사 고유명사란 Mary, John 등과 같이 사람 이름이나 Seoul, Japan 같은 지명, Sunday, May같은 요일, 달의 이름과 같이 사람이나 사물의 고유한 이름을 나타내는 명사이다. Teaching Point 1 : 고유명사의 특징 첫글자는 대문자로 쓰고, 부정관사나 정관사를 붙이지도 않으며, 복수형으로 하지도 않는 것이 원칙이다. Jane left for New York last Monday. (존은 지난 월요일에 뉴욕으로 떠났다.) Teaching Point 2 : 고유명사의 보통명사화 고유명사에 부정관사 a/an이나 정관사 the가 붙거나 복수형으로 쓰이게 되면 고유명사가 보통명사화 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뜻을 갖게 된다. (1) 「~..
절대 소유격과 이중 소유격에 대해 알아보자. Teaching Point 4 : 절대 소유격 소유격 다음에 오는 명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생략할 수 있는데 이를 절대 소유격이라 한다. (1) 생략된 명사가 문맥상 분명할 때: My car is bigger than John’s. (내 차는 존의 것보다 크다.) Mary’s was the prettiest dress. (메리의 것이 가장 이쁜 옷이었다.) (2) ’s 뒤에 오는 house(집), store(상점), shop(가게) 등과 같은 장소나 건물을 나타내는 명사는 보통 생략한다: a book-seller’s (서점) a chemist’s (약국) a butcher’s (정육점) a shoe-maker’s (양화점) a baker’s (제과점) a b..
주의해야 할 소유격에 대해 알아보자. Teaching Point 2 : 소유격 만드는 법 (1) 사람과 동물의 소유격은 원칙적으로 명사의 어미에 apostrophe s(’s)를 붙여 만든다. Tom’s book her son’s toys 보충 학습 : 어미가 -s로 끝나는 고유명사나 복수형 명사의 소유격은 (’)만을 붙이는 것이 원칙이다. a girls’ school ladies’ gloves April Fools’ Day Socrates’ death Columbus’ discovery Dickens’ novels (2) 무생물의 소유격은 전치사 of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legs of a desk the front of the building the roof of my house Teac..
주격, 목적격, 소유격을 알아보고 소유격의 의미상 주어에 대해 알아보자. ◆ 명사의 격 명사 또는 대명사가 문장 내에서 다른 말과 갖게되는 문법적 관계를 격이라 하며, 격에는 주격, 목적격, 소유격이 있다. Teaching Point 1 : 격의 종류 (1) 주격 : 주어와 주격 보어로 쓰인다. John went to the movies last night. (존은 지난밤에 영화 보러 갔다.) The girl is beautiful. (그 소녀는 아름답다.) He is a doctor. (그는 의사이다.) 보충 학습 : 인칭 대명사의 주격 1인칭: I, we 2인칭: you 3인칭: he, she, it, they (2)..
항상 복수형으로 쓰이는 명사를 알아보자. Teaching Point 4 : 항상 복수형으로 쓰이는 명사 (1) 두 개가 짝을 이루어 하나의 물건으로 가치가 있는 의류나 기구 등은 항상 복수형으로 쓰고, 그 수를 셀 때는 a pair of ~, two pairs of ~의 형태로 나타낸다. glasses (안경) shoes (신발) boots (부츠) socks (양말) stockings (스타킹) trousers (바지) pants (바지) gloves (장갑) scissors (가위) (2) 어미가 -ics로 끝나는 학문, 학과 명으로서 단수로 취급한다. politics (정치학) economics (경제학) linguistics (언어학) statistics (통계학) 주의 : 어미가 -ic로 끝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