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화법과 간접화법 이란? 예문을 통해 알아보자. ◆ 직접화법과 간접화법 Teaching Point 1 : 직접화법과 간접화법 다른 사람의 말을 전달하는 표현 방법을 화법이라고 하며, a) 다른 사람의 말을 인용부호를 이용해 그대로 전달하는 방법을 직접화법이라 하고, b)다른 사람의 말을 접속사를 이용해 간접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간접화법이라 한다. a) He said, “I will wait for you.” (그는 ‘당신을 기다리겠습니다.’라고 말했다.) b) He said that he would wait for me. (그는 나를 기다릴 것이라고 말했다.) 참고 : 화법에서 사용되는 문법용어 남의 말을 전달하는 동사 said 등을 전달동사라 하고, 전달하는 내용문을 피전달문이라 한다. Teachin..
시제의 일치와 예외를 예문을 통해 알아보자. ◆ 시제의 일치 주절과 종속절로 이루어진 복문에서 주절의 시제와 종속절의 시제를 일치시키는 것을 시제의 일치라 한다. 보충 학습 : 주절과 종속절 ▶ I found that he had already left. (나는 그가 이미 떠났다는 것을 알았다.) 주절 : I found that ~ (나는 that 이하를 알았다.) 종속절 : that이하의 부분, 즉 that he had already left는 주절의 동사 found의 목적어가 되는 명사절로서 종속절이라 한다. Teaching Point 1 : 주절의 동사가 현재, 현재완료, 미래인 경우 주절의 동사가 현재, 현재완료, 미래이면 종속절의 동사는 제한이 없이 쓰인다. (1) 주절의 동사 : 현재 They..
주의해야 할 수 일치에 대해 예문을 통해 알아보자. ◆ 주어와 동사의 일치 Teaching Point 1 : 주어와 동사의 일치 주어의 인칭과 수에 따라 동사의 형태가 변하게 되는데 이렇게 주어의 수와 인칭에 맞는 형태의 동사를 사용하는 것을 주어와 동사의 일치라 한다. I am a student. (나는 학생이다.) You are a student. (당신은 학생이다.) He is a student. (그는 학생이다.) She is a student. (그녀는 학생이다.) I like apples. (나는 사과를 좋아한다.) You like apples. (당신은 사과를 좋아한다.) He likes apples. (그는 사과를 좋아한다.) She likes apples. (그녀는 사과를 좋아한다.) T..
주의해야 할 분사구문에 대해 알아보자. ◆ 주의해야 할 분사구문 Teaching Point 1 : Being과 Having been의 생략 분사구문이「Being+과거분사/명사/형용사」나 「Having been+과거분사/명사/ 형용사」의 형태로 시작하는 경우에는 Being이나 Having been은 생략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생략된 Being/Having been을 보충해 보면 의미 파악이 쉬워진다. Left to herself, she wept bitterly. (혼자 남겨졌기 때문에 그녀는 서럽게 울었다.) = Being left to herself, she wept bitterly. Born in better times, he would have become famous. (그가 좀..
독립 분사구문 이란? 무엇인지 예를 통해 알아보자. ◆ 독립 분사구문 Teaching Point 1 : 분사구문의 의미상 주어와 주절의 주어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분사 앞에 주어를 밝혀 주어야 한다. 이를 독립분사구문이라 한다. The sun having set, we started for home. (해가 지자 우리는 집으로 출발했다.) = When the sun had set, we started for home. The signal being given, we set off. (신호가 떨어지자 우리는 출발했다.) = When the signal was given, we set off. It being fine, they went hiking. (날씨가 좋았기 때문에 그들은 하이킹을 갔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