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대명사 I 기본개념: - "관계대명사"란 일단 그 명칭 속에 해답이 있습니다. 즉, 관계가 있는 두 명사 중 하나의 명사를 대명사로 처리하겠다는 뜻입니다. (1) 왜 관계대명사가 필요한가? ① 관계대명사를 이용하면 서로 관계가 있는 명사를 포함하고 있는 두 문장을 하나의 문장으로 붙여 쓸 수 있습니다. (예) ⓐ나는 어제 책을 한 권 샀습니다. ⓑ나는 책을 한 권 갖고 있습니다. - ⓐ문장의 책과 ⓑ문장의 책이 같은 책일 경우 - "내가 어제 산 책을 갖고 있습니다"는 문장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 영어의 경우는 아래와 같습니다. ⓐ I bought a book yesterday. ⓑ I have the book. → I have the book which I bought yesterday. * 만..
관계대명사 생략 (1) 관계대명사 생략의 원칙 ① 관계대명사가 목적격(whom, which, that)으로 사용될 때 생략할 수 있습니다. - 단 전치사의 목적어가 목적격관계대명사로 대체된 후, 그 전치사가 목적격관계대명사 앞에 위치할 때는 그 목적격관계대명사를 생략할 수 없습니다. ② 주격관계대명사 뒤에 be동사가 올 때, 주격관계대명사와 be동사를 동시에 생략할 수 있습니다. - 반드시 주격관계대명사와 be동사를 둘 다 생략해야지 어느 하나만은 생략할 수 없습니다.(2) 예문 ① I want to buy the book. I like to read the book. → I want to buy the book which I like to read. * read에 대한 목적어 the book을 관계대명..
수 동 태 기본설명: - 비교급이란 서로 다른 두 대상이 가진 공통된 특질을 비교하는 문장표현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비교의 대상이 되는 품사는 명사(구, 절)이며, 비교의 기준이 되는 특질을 설명하는 품사는 형용사이거나 부사입니다. (1) 비교급 문장이 성립되기 위한 조건: ① 비교하고자 하는 2개의 대상이 있어야 한다. - 비교라고 하는 개념 자체가 2개의 특정한 대상을 서로 견주어 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② 비교하고자 하는 2개의 대상이 서로 공통된 성질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비교라고 하는 것은 둘 사이에 아무런 공통점도 없는 전혀 다른 2개의 대상을 비교할 수 없습니다. (예) 자동차와 타조를 무턱대고 비교할 수 없습니다. 비교하고자 하는 성질을 둘 사이에서 설정할 때 자동차와 타조는 비교..
화 법 기본설명: - 화법(narration)이란 자신이나 타인의 말을 전달하는 방법을 말한다. 화법에는 직접화법과 간접화법 2가지 용법이 있다. 직접화법이란 인용부호(" ")를 이용해서 자신이나 타인의 말을 있는 그대로 전달하는 방법을 말하며, 간접화법은 말한그대로를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말하는 사람의 입장을 중심으로 그 내용만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1) 직접화법 - 직접화법은 말 그대로 말한 사람의 말을 있는 그대로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화법이다. - 직접화법 문장의 특징 ① 전달하고자 하는 문장은 대문자로 시작한다. - 전달하고자 하는 문장은 독립된 문장으로 취급하기 때문이다. - (예) He said, "I am hungry." ② 전달하고자 하는 문장의 앞뒤를 인용부호로 표시한다. -..
동명사의 관용적 표현을 예문으로 만나보자. ◆ 동명사의 관용적 표현 Teaching Point 1 : on ~ing (~ 하자마자, ~ 하고 곧) On hearing the news, she started for home. (그 소식을 듣자마자 그녀는 고향으로 떠났다.) On seeing me, he ran away. (나를 보자마자 그는 달아났다.) On entering the room, he fell on the floor. (방에 들어서자마자 그는 바닥에 넘어졌다.) Teaching Point 2 : go on ~ing = keep on ~ing (계속해서 ~ 하다) They went on laughing at me. (그들은 계속 나를 비웃었다.) We went on talking for an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