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사의 용법에 대해 알아보자. ◆ 동명사의 용법 동명사는 명사적 역할을 하므로 문장 내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로 쓰이며 전치사의 목적어가 되기도 한다. Teaching Point 1 : 주어로 쓰인 동명사 Swimming is a good sport. (수영은 좋은 스포츠이다.) Taking a walk is a good exercise. (산책하는 것은 좋은 운동이다.) Keeping a diary in English is not so difficult. (영어로 일기를 쓰는 것은 그렇게 어렵지 않다.) Asking for help is sometimes necessary. (도움을 청하는 것이 때로는 필요하다.) 주의 : 주어로 쓰인 동명사는 언제나 3인칭 단수로 취급한다. Taking pictu..
동명사란? 무엇인지 예를 통해 알아보자. ◆ 동명사의 형태와 성질 동명사는 동사의 원형에 -ing를 붙인 형태로서「~하는 것」의 의미를 갖는다. Teaching Point 1 : 동명사의 명사적 역할 문장 내에서 명사적 역할을 하는 말로서 주어, 목적어, 보어로 쓰인다. Seeing is believing. (보는 것이 믿는 것이다. 백문이 불여일견.) My dream is going abroad. (내 꿈은 해외에 나가는 것이다.) We enjoyed fishing in the river. (우리는 강에서 낚시하는 것을 즐겼다.) She is very fond of swim..
분리부정사와 대부정사에 대해 알아보자. ◆ 분리부정사와 대부정사 Teaching Point 1 : 분리부정사 ▶ He failed to understand it entirely. 1) entirely가 understand를 수식하는 경우: (그는 그것을 완전히 이해하지는 못했다.) 2) entirely가 failed를 수식하는 경우: (그는 그것을 이해하는데 완전히 실패했다.) 이러한 혼동을 피하기 위해 to부정사를 수식하는 부사는「to+부사+동사의 원형」의 형태로 써서, He failed to entirely understand it. (그는 그것을 완전히 이해하지는 못했다.)라고 쓰게 된다. 이때 to와 동사 원형이 분리되었다 하여 이를 분리부정사라 하는 것이다. I did not intend to ..
부정사의 관용적 표현을 예를 통해 알아보자. ◆ 부정사의 관용적 표현 Teaching Point 1 : too+형용사+to부정사 = so+형용사+that+주어+cannot ... (너무 ~해서 … 못하다, ...하기에는 너무 ~하다) He is too young to go to school. (그는 너무 어려서 학교에 갈 수 없다.) = He is so young that he cannot go to school. The stone is too heavy for me to move. (그 돌은 내가 움직이기에는 너무 무겁다.) = The stone is so heavy that I cannot move it. We are too busy to have a long holiday. (우리는 너무 바빠서 긴..
독립부정사란? 예문을 통해 만나보자. ◆ 독립부정사 Teaching Point : 독립부정사의 의미와 종류 독립된 의미를 갖고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to부정사가 포함된 부사구를 독립부정사라 하는데 독립부정사는 관용어구로 알아두는 것이 좋다. to tell the truth (사실을 말하면) to be frank with you (솔직히 말해) to be sure (확실히) to make matters worse (설상가상으로) so to speak (말하자면) strange to say (이상하게 들리겠지만) needless to say (말할 필요도 없이) to say nothing of ~ = not to speak of ~ = not to mention ~ (~은 말할 것도 없이) to sum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