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문사+to부정사, be동사+to부정사 용법을 예문을 통해 알아보자. ◆ 의문사+to부정사 「의문사+to부정사」는 명사구로서 주어, 목적어, 보어로 쓰일 수 있는데 주로 know, tell, ask, show, learn, teach, decide 등의 목적어로 사용된다. Teaching Point 1 : how+to부정사 「어떻게 ~하는지, ~하는 방법」이라는 뜻의 명사구이다. How to do is more important than what to do. (어떻게 하느냐가 무엇을 하느냐보다 중요하다.) Mr. Tate teaches us how to swim. (테이트 씨는 우리에게 수영하는 법을 가르친다.) They learned how to use the computer. (그들은 컴퓨터 사용법을..
부정사의 시제란? 예문을 만나보자. ◆ 부정사의 시제 Teaching Point 1 : 단순부정사 「to+동사원형」을 단순부정사라 하고, 술어동사와 같은 시제를 나타낸다. He seems to be angry with me. (그는 나에게 화가 난 것 같다.) = It seems that he is angry with me. She seemed to be happy. (그녀는 행복해 보였다.) = It seemed that she was happy. Teaching Point 2 : 완료부정사 「to+have+과거분사」의 형태로 쓰인 부정사를 완료부정사라 하는데, 완료부정사는 술어동사의 시제보다 하나 앞선 시제가 된다. 다시 말해 술어동사가 현재이면 완료 부정사는 현재완료나 과거의 의미가 되고, 술어동사..
원형부정사란 무엇이며 그 예문을 만나보자. ◆ 원형부정사 to가 붙지 않은 to 없는 부정사를 원형부정사라 한다. Teaching Point 1 : 지각동사+목적어+원형부정사 see, watch, hear, listen to, feel, smell 등의 지각동사의 목적 보어로는 to없는 원형부정사가 오게 된다. I saw a thief break into his house. (나는 도둑이 그의 집에 칩입하는 것을 보았다.) I saw her swim in this river. (나는 그녀가 이 강에서 수영하는 것을 보았다.) I saw a beggar enter the hotel. (나는 거지가 호텔에 들어가는 것을 보았다.) We have never seen her smile. (우리는 그녀가 웃는 것..
to부정사의 의미상 주어에 대해 알아보자. ◆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 Teaching Point 1 :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가 문장의 주어와 일치하는 경우 ▶ He hopes to forget his past. (그는 자신의 과거를 잊고 싶어한다.) to forget(잊다)의 주어는 문장의 주어인 he와 일치한다. 이와 같이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가 그 문장의 주어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의미상 주어를 밝힐 필요가 없다. I have something to say. (나는 할 말이 있다.) Our company expects to hire more people. (우리 회사는 더 많은 사람을 고용할 예정이다.) Teaching Point 2 : 의미상 주어를「for+목적격」으로 나타내는 경우 부정사의 의..
to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을 예를 통해 알아보자. ◆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to 부정사는 동사를 수식하여 목적, 원인이나 이유, 결과, 조건을 나타내며, 형용사를 수식하기도 한다. Teaching Point 1 : 목적을 나타내는 부정사 「~하기 위하여, ~하러」라는 목적의 의미를 갖는다. I went to the station to see him off. (나는 그를 전송하러 정거장에 갔다.) We eat to live but do not live to eat. (우리는 살기 위해 먹는 것이지 먹기 위해 사는 것이 아니다.) She went to Italy to study music. (그녀는 음악을 공부하러 이태리로 갔다.) He worked hard to pass the test. (그는 시험에 합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