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영어의 부정에 대해 알아보자.



부정구문


영어의 부정은 꽤 복잡해서 우리말같이 간단하지가 않다. 단순히 not이나 never, no만이 부정을 나타낸다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Teaching Point 1 : not ~ but ...과 no ~ but ...
not ~ but ...이나 no ~ but ...은「...하지 않는 ~는 없다」, 「모든 ~는 ...하다」는 뜻의 부정 구문이다.

  • There is no rule but has exceptions. (예외 없는 규칙은 없다.)
  • It never rains but it pours. (비가 오기만 하면 언제나 쏟아 붓는다.)
  • Not a day passed but I met her. (그녀를 만나지 않고 지나는 날은 하루도 없다.)

Teaching Point 2 : not ~, but ...
not ~, but ...은「~이 아니고 ...이다」는 뜻의 부정구문으로 앞의 not ~ but과는 전혀 뜻이 다르다. but 앞에 Comma(,)가 있으며, but 다음에 명사, 구, 절 어느 것이나 올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 What I want is not wealth, but health. (내가 원하는 것은 부가 아니라 건강이다.)
  • Most people talk not because they have anything to say, but because they like talking. (대부분의 사람들은 할 말이 있어서가 아니라 말하기를 좋아하기 때문에 말을 한다.)

Teaching Point 3 : not only ~, but (also) ...
not only ~, but also ..., 또는 not only ~, but ...으로 쓰이는 이 구문은「~뿐만 아니라 ...도」라는 뜻을 갖는다.

  • He has not only knowledge, but also experience. (그는 지식뿐 아니라 경험도 가지고 있다.)
  • We like him not only for what he has, but for what he is. (우리는 그가 가진 것 때문만 아니라 그의 사람됨 때문에도 그를 좋아한다.)
  • She can not only sing, but dance. (그녀는 노래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춤도 출 수 있다.)

Teaching Point 4 : nothing but ~
nothing but ~은「그저 ~일뿐」이란 뜻으로서 only와 같은 표현이 된다. nothing but ~은 부정적인 시각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 He is nothing but an opportunist. (그는 그저 기회주의자일 뿐이다.)

    참고 : anything but
    anything but은 「~이외에는 무엇이든지」라는 뜻과 「결코 ~아니다」라는 의미를 갖는다.

    • I would give you anything but life. (목숨만은 살려 주십시오.)
    • He is anything but a liar. (그는 결코 거짓말쟁이가 아니다.)

Teaching Point 5 : 명사절을 이끄는 but
but이 명사절을 이끄는 경우 but이 that ~ not의 의미를 갖게 된다. 주로 부정문이나 수사의문에 쓰인다.

  • It was impossible but he should notice it. (그가 그것을 알아채지 못했다니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 Who knows but he may be right? (그가 옳지 않다는 것을 누가 알고 있는가?)
    < 그가 옳을지도 모른다는 의미 >

Teaching Point 6 : 주의해야 할 but that
부정어를 동반하는 doubt, deny 등의 동사 뒤에 오는 but that은 그저 접속사로 쓰일 뿐이다.

  • I do not doubt but that he will succeed. (그가 성공하리라는 것을 나는 의심치 않는다.)
  • I never deny but that you told the truth. (당신이 진실을 말했다는 것을 나는 결코 부정하지 않는다.)

Teaching Point 7 : too ~ to 부정사
too ~ to ...는「...하기에는 너무 ~하다」는 뜻으로서「너무 ~해서 ...할 수 없다」는 부정의 의미가 내포된 표현이다.

  • He was too young to help his father. (그는 너무 어려서 아버지를 도울 수 없었다.)
  • It rained too hard for us to go out. (비가 너무 와서 우리는 밖에 나갈 수 없었다.)
  • She was too much frightened to speak. (그녀는 너무 놀라서 말도 할 수 없었다.)

Teaching Point 8 : not ~ till ... = not ~ until ...
not ~ till ...은「...할 때까지는 ~않다」는 뜻으로서「...하고서야 비로소 ~하다」라고 옮기기도 한다. not ~ until ...도 같은 표현이다.

  • We do not know the blessing of our health till we lose it. (우리는 건강을 잃고서야 비로소 그 고마움을 안다.)
  • Till now I knew nothing about it. (지금까지 나는 그 일에 대해 전혀 몰랐다.)
  • I had not eaten anything till late in the afternoon. (오후 늦게까지 나는 아무 것도 안 먹었다.)
  • He won’t go away till you promise to help him. (당신이 그를 돕겠다고 약속할 때까지 그는 떠나지 않을 것이다.)

보충 학습 : not ~ till의 문장을 It ~ that 강조 구문으로 바꾸면 It is not till ~ that의 형태가 된다.

  • They did not come back till late at night. (그들은 밤이 늦어서야 겨우 돌아 왔다.)
    It was not till late at night that they came back.
  • I didn’t learn Korean until I came to Korea. (나는 한국에 와서야 비로소 한국어를 배웠다.)
    It was not until I came to Korea that I learned Korean.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