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동 명 사





1. 기본개념:
동명사란 동사를 재료로 명사를 만든 것을 의미한다. 동사에 "ing"를 붙여서 명사로 만든 것.
② 동사를 재료로 명사로 만든 것이기 때문에 재료로한 동사의 성질 즉 자동사로서의 성질(목적어 없이 사용)과 타동사로서의 성질(목적어를 반드시 가져오는 성질)은 그대로 남아있다.
* 동사의 성질이 자동사인 경우에는 그냥 "자동사 + ing"자체가 하나의 명사가 된다. 타동사인 경우에는 "타동사 + ing + 목적어" 전체가 하나의 명사구가 된다.

(예) ⓐ 자동사의 경우: go(가다) -- going(가는 것)
* Going to school is good for you. (학교에 가는 것이 당신을 위해 좋습니다)
* "to school"은 "going"의 원래 의미 동사 "go"를 수식하는 부사구 입니다.

ⓑ 타동사의 경우: make coffee(커피를 만들다) -- making coffee(커피를 만드는 것)
* Making coffee is my hobby.(커피를 만드는 것이 제 취미입니다)
* "Make"는 원래 타동사이기 때문에 동명사 making으로 바뀐 후 에도 목적어 coffee를 여전히 가져와야 한다.

동명사의 기능


동명사는 동사를 재료로 명사로 만든 것이기 때문에 결국 품사는 명사이다. 따라서 명사가 문장 구조에서 쓰일 수 있는 모든 자리에 원칙적으로는 쓰일 수 있다. 즉 동명사는 주어, 주격보어, 목적어로 쓰일 수 있다.

(1) 동명사가 주어의 기능을 할 때:
Running is good for your health. (달리기는 당신의 건강을 위해서 좋습니다)
- 자동사 "run"에 ing가 붙어 "running" 즉 달리는 것으로 되었음.
- 2형식 문장. "is"는 동사, "good"은 주격보어, "for your health"는 부사구이다.

Collecting old stamps is a good hobby. (오래된 우표들을 모으는 것은 좋은 취미입니다)
- "collect"는 타동사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동명사로 바뀐 후에도 여전히 collect에 대한 목적어 "old stamps"를 가져오게 된다.
- "collecting old stamps"는 전체가 명사구 즉 하나의 명사로 주어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2) 동명사가 주격보어로 쓰일 때:
① His job is cleaning offices. (그의 직업은 사무실을 청소하는 것입니다)
- "cleaning offices"는 동명사로서 "His job"을 보충설명하고 있습니다.
- "his job"과 "cleaning offices"는 내용상 같은 것입니다.
- 타동사 "clean"이 동명사로 바뀌어도 타동사이기 때문에 여전히 목적어 "offices"를 대동하고 있음.

② My hobby is running with my dog in the rain. (내 취미는 빗속을 개와 함께 달리는 것입니다)
- "running"은 동명사로서 주어 "my hobby"의 주격보어가 된다.
- "with my dog"은 부사구, "in the rain"도 부사구. 둘 다 문장 구조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 "run"은 여기서 자동사이므로 동명사로 바뀌어도 목적어가 필요없다.

(중요) 동명사 주격보어는 진행형과 비슷해 보이지만 다릅니다.

(예) ① My dream is teaching English.
- 동명사: 내 꿈은 영어를 가르치는 것입니다.
- 주어는 "my dream", "teaching English"는 동명사로서 주격보어입니다.
- "my dream" = "teaching English"(my dream을 보충설명해 줌)

② He is teaching English.
- 진행형: 그는 영어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 "teaching"은 현재분사로서 is와 함께 진행적 뜻을 가지는 것이지 동명사는 아닙니다.

(3) 동명사가 타동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① I like reading books. (나는 책 읽는 것을 좋아합니다)
- "reading"은 동명사로서 타동사 "like"에 대한 목적어가 된다.
- "reading"은 타동사 "read"에 "ing"가 붙어서 동명사가 되었지만 타동사 "read"를 재료로 했기 때문에 동명사로 바뀌고 난 후에도 여전히 타동사 "read"에 대한 목적어 "books"를 동반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reading books" 전체가 하나의 명사구를 이루며 "like에 대한 목적어 역할을 하고 있다.
(4) 동명사가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전치사는 말 그대로 "어떤 것 앞에 위치하는 품사"라는 뜻인데, 전치사는 반드시 뒤에 명사(명사/명사구)를 취한다. 따라서 전치사 뒤에는 동명사가 위치할 수 있다.
① I am good at making coffee. (나는 커피를 잘 만듭니다)
- "at"은 전치사입니다.
- "making"은 타동사 "make"에 ing가 붙어서 동명사가 되었습니다.
- "making"의 원재료가 타동사 "make"이기 때문에 동명사로 바뀐 후에도 "make"에 대한 목적어 "coffee"가 그대로 붙어 옵니다.
- "making coffee" 전체가 명사구가 되며, 전치사 "at"의 목적어가 됩니다.
동명사의 특징


동명사는 동사를 재료로 명사로 바뀐 것이기 때문에 재료로 한 동사의 특징을 여전히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동명사의 특징은 재료로 한 동사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1) 동명사는 의미상 주어를 가질 수 있다:
① Do you mind my using the copy machine?
(내가 복사기를 사용해도 될까요?)
- 타동사 "mind"에 대한 목적어로 동명사 "using"이 사용되고 있다.
- 누가 사용(using)하는 가를 밝혀 주기 위해서 동명사 "using" 앞에 소유격 "my"를 붙여서 "내가 복사기를 사용하다"라는 동명사의 의미상 주어를 밝히고 있다. (동명사는 명사이기 때문에 명사 앞에 소유격을 붙일 수 있다)

② I like making coffee. (나는 커피를 만드는 것을 좋아한다)
- 이 경우 "I like my making coffee"의 뜻이지만 "my"가 생략될 수 있는 이유는 전체 문장의 주어 "I"가 있기 때문에 "my"를 생략하더라도 누가 커피를 만드는가에 대한 내용을 짐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리)
- 동명사의 의미상 주어는 소유격을 붙여서 표시한다.
- 동명사의 의미상 주어를 붙여야 할지 아닐 지는 문장의 의미가 동명사가 가진 행위를 누가 하는 지를 밝힐 필요가 있을 지 없을 지에 따라 결정하다.

(2) 동명사는 목적어를 가질 수 있다.
동명사로 만들기 전에 재료로 한 동사가 타동사일 경우에는 동명사로 만들고 난 후에도 동명사에 대한 목적어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동명사 + 목적어" 전체가 하나의 명사구가 된다. (동명사의 기능에서 충분히 설명했기 때문에 예문과 설명은 생략함)

(3) 동명사는 의미상 시제를 가질 수 있다.
동명사는 동사를 재료로 해서 만들어진 명사이기 때문에 원재료인 동사의 시제를 동명사에 반영할 수가 있다.

① I appreciate his helping me a lot.
- (나는 그가 나를 많이 도와주고 있는 것을 감사한다)
- "그가 나를 도와주는 것"(his helping me)에서 "helping"의 시제는 "appreciate"의 시제와 같다.

② I appreciate his having helped me a lot.
- (나는 그가 나를 많이 도와주었다는 것을 감사한다)
- 감사(appreciate)는 지금 하지만 도와준 것은 과거이다.
- 이처럼 동명사에 과거 시제를 부여하고 싶을 때는 동명사를 현재완료형 동명사로 만든다.

③ I appreciate being helped a lot by him.
- (나는 그에 의해서 많은 도움을 받고 있는 것을 감사한다)
- 수동적 의미를 동명사로 만들 때는 "being + 과거분사"의 형태로 동명사를 만든다.
- 감사하는 시제와 도움을 받는 것에 대한 시제는 모두 동일한 현재시제이다.

④ I appreciate having been helped a lot by him.
- (나는 그에 의해서 많은 도움을 받았었다는 것을 감사한다)
- 수동적 의미이면서 시제는 과거인 경우를 동명사로 만들 때는 현재완료수동형 동명사로 만든다. 즉 "having + been + 과거분사"의 형태가 된다.
- 감사하는 시제는 현재이지만, 도움을 받은 것에 대한 시제는 과거이다.

(요점)의 과거시제를 표현하기 위해서 왜 현재완료형 동명사를 사용해야 하는가의 문제는 현재완료형이란 시제는 현재일지라도 현재 시점에서 보았을 때 동작이 완료된 상태, 즉 동작이 일어난 시기는 과거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동명사에 과거시제의 의미를 부가하고 싶을 때 현재완료형 동명사를 사용하는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현재완료형편에서 설명하겠음)
관계 문제


1. ______ 12 dollars per hour is hard nowadays.
a. Earn b. Earning c. Earned d. Have earned

(해설)정답: b (시간당 12 달러를 번다는 것은 요즈음 어렵습니다)
- 동사가 "is"이기 때문에 동사 앞의 "___ 12 dollars per hour" 전체가 명사구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___ 안에 명사이면서 목적어 "12 dollars"를 가지고 올 수 있는 타동사를 재료로 한 동명사를 고르면 정답입니다. 정답은 Earning 입니다.

2. I don't like _____ English in this noisy class.
a. teach b. taught c. teaching d. have taught

(해설) 정답: c (나는 이 시끄러운 반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것이 싫습니다) - 동사는 "like" 타동사이므로 "_____" 속에는 English를 목적어로 가지는 동명사가 와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teaching이 된다.
- "teaching English"는 동명사구로서 like의 목적어가 되며, "in this noisy class"는 부사구가 된다.

3. I am ⓐlooking ⓑforward to ⓒgo abroad ⓓnext year.

(해설) 정답: c (나는 내년에 외국 가는 것을 기대하고 있다)
- "look forward to"는 "--을 기대하다"라는 뜻이며, 이때 "to"는 전치사입니다.
- 전치사 "to" 뒤에는 전치사에 대한 목적어 즉 목적격 명사가 와야하므로 "go" 대신에 동명사 "going"이 들어가야 합니다.

4. I ⓐam ashamed ⓑof my ⓒbeing ⓓpoor long time ago.

(해설) 정답: c (나는 오래 전에 내가 가난했었다는 것을 부끄러워한다)
- 부끄러워하는 것은 현재이지만, 가난했던 것은 "long time ago" 때문에 과거라는 사실이 명백하다.
- 따라서 of 이하에 오는 동명사의 시제는 과거로 표시해야 하며, 과거의미를 동명사에 부여하기 위해서는 현재완료형 동명사를 써야 한다. 즉 "I am ashamed of my having been poor long time ago"가 되어야 한다.

'영어공부하기 > 왕초보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형식이란? 개념잡기  (0) 2014.02.13
3형식이란? 개념잡기  (0) 2014.02.13
4형식이란? 개념잡기  (0) 2014.02.13
5형식이란? 개념잡기  (0) 2014.02.13
명사란? 개념잡기  (0) 2014.02.13
형용사란?  (0) 2014.02.13
동사의 기본시제  (0) 2014.02.13
현재 진행형이란?  (0) 2014.02.12
현재완료란?  (0) 2014.02.12
과거완료 와 미래완료  (0) 2014.02.12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